청약통장 사용법 궁금증 해결하기 !!
청약통장 사용법
청약통장 해약할까? | 청약통장 관리 이렇게 한다!! | ||
1 | 집값폭락, 청약열기 급냉 - 청약통장 필요성 감소 | 1 | 납입금액 낮추기, 불입정지 |
2 | 초저금리 1.8% 6년째 | 2 | 정답 없다. 마이너스 통장 매꾸기 |
3 | 집이 있는데 청약 통장 필요한가? | 3 | 추가 집장만 계획 없다, 해약? |
창약통장 증요성: 현재 전국민 2851만 명이 가입한 국민 통장인 바로 청약통장 이자율이 6년 3개월 여만에 상향될 예정으로 기준금리 3% 상승과 연동하여 과거의 4%대로 빅스텝 받을 수 있을까 벌써부터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 19일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 또 기획재정부는 청약통장에는 주택청약종합저축, 또 청약저축, 청약부금, 청약예금 포함하여 예금금리 높이기로 방침 정했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.
40년간 청약통장 이자율 추이 *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납입원금 5000만원 한도 내 우대이율 적용 |
||||
구분 | 1개월 이내 | 1개월 초과 1년 미만 |
1년 이상 2년 미만 |
2년 이상 |
1982년 7월23일~1985년 12월31일 | 0% | 1.8% | 3.0% | 6.0% |
1986년 1월1일~1992년 7월12일 | 0% | 2.5% | 5.0% | 8.0% |
1992년 7월13일~2002년 10월28일 | 0% | 2.5% | 5.0% | 10.0% |
2002년 10월29일~2006년 2월23일 | 0% | 2.5% | 5.0% | 6.0% |
2006년 2월24일~2012년 12월20일 | 0% | 2.5% | 3.5% | 4.5% |
2012년 12월21일~2013년 7월21일 | 0% | 2.0% | 3.0% | 4.0% |
2013년 7월22일~2014년 9월30일 | 0% | 2.0% | 2.5% | 3.3% |
2014년 10월1일~2015년 2월28일 | 0% | 2.0% | 2.5% | 3.0% |
2015년 3월1일~6월21일 | 0% | 1.8% | 2.3% | 2.8% |
2015년 6월22일~10월11일 | 0% | 1.5% | 2.0% | 2.5% |
2015년 10월12일~2016년 1월3일 | 0% | 1.2% | 1.7% | 2.2% |
2016년 1월4일~8월11일 | 0% | 1.0% | 1.5% | 2.0% |
2016년 8월12일~2022년 1월2일 | 0% | 1.0% | 1.5% | 1.8% |
청약통장 예금금리 상향 : 19일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는 청약통장(주택청약종합저축+청약저축+청약부금+청약예금)의 예금금리 높이기로 방침 정하고 상향 수준 조율하고 있는데 주택청약통장의 예금금리는 국토부와 기재부의 협의와 사전규제 심사,행정예고,국민주택기금운용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토부장관이 고시합니다.
청약통장의 이율 상향 현실화 : 청약통장의 이율 상향이 현실화될 전망이라는 소식과 함께 원희룡 국토부장관도 앞서 국토위 국정감사에서 청약통장 이자율 인상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최근에 1.8% 초저금리가 5% 정기예금과 상대적으로 비교되면서 40년간 청약통장 이자율은 2016년 8월 12일부터 2022년 현재까지 1.8% 초금리 유지하고 있습니다.한국은행 기준금리 3%인 현재 하루빨리 4% 5%로 인상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 기준금리 3%의 과거 청약통장 이율 연동시켜 보면 4%로 2.2% 상향되어야 한다 볼 수 있습니다.
청약통장 계속 유지해야 할까? 첫 번째. 청약통장 해약 검토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이유는 집값폭락 또 청약열기 급냉에 따른 청약통장 필요성 감소 때문이며 두 번째. 6년째 1.8% 초저금리로 1000만원,2000만원,3000만원 한 사람들의 의욕상실감이 그 이유입니다. 세 번째. 집을 한 채씩 보유한 사람들에게 과연 청약통장이 필요한가?라는 의문을 갖는 경우인데 예를 들어 청약금액 낮추는 방법이 한 가지 방법이고 또 다른 방법은 불입 정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 불입 정지하는 경우는 청약통장 유지하고 싶지만 계속 불입하는 것이 부담되는 사람들은 청약 불입금액은 2만원~50만원까지 선택할 수 있고 최대 금액까지 납입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초저금리 유지된다면, 정부가 4% 5% 인상하지 않는다면 이미 1000만원 2000만원 불입한 사람들은 잠시 금액 낮추거나 정지하는 것도 한번 고려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
현재 내가 7%대 고금리 마이너스 통장 쓰고 있다면 1.8% 초저금리 청약통장 담보로 하여 예금 담보 대출 받아 마이너스 통장 일부 메꾸는 것도 금리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습니다.추가 집장만 계획 없다면 해약도 검토할 수 있지만 해약 만큼은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합니다.그 이유는 청약통장 5년 10년 15년 장기적으로 불입해서 이미 1순위 자격 다 유지하고 있는데 해약하면 한 번에 청약통장이 없어져서 내집마련 기회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잘 생각해야 합니다. 집이 한 채,두 채 있고 지금 연세 많다면 굳이 청약통장 유지할 필요는 없다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은데.이런 경우 해약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.
청약 통장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들 | |
1 | ISA 정기예금 통장 만들어 놓기(최대 6천불입,비과세) |
2 | 마이너스 통장,7%고금리 대출 상환 |
3 | 월 불입정지 또는 월 불입금 조정(자녀통장만들기) |
지금처럼 5%대 고금리 유지된다면. | |
1 | 집이 없다면 해약보다 청약통장 유지 |
2 | 집 있고 금리때문에 유지했다면 해약검토 |
3 | 결론)상황에 맞춰 생각해 보기!! |
청약저축예금 | 마이너스통장 대출 상환 | |||||||
청약예금 | 예금이자 | 담보대출3.3% | 마이너스통장 | 대출이자 | ||||
예금이율 1.8% | 대출이율 7% | |||||||
1년 | 20,000,000 | 360,000 | 660,000 | 1년 | 20,000,000 | 1,400,000 | 740,000 | |
2년 | 20,000,000 | 360,000 | 660,000 | 2년 | 20,000,000 | 1,400,000 | 740,000 | |
3년 | 20,000,000 | 360,000 | 660,000 | 3년 | 20,000,000 | 1,400,000 | 740,000 | |
원금 | 20,000,000 | 1,080,000 | 1,980,000 | 대출원금 | 20,000,000 | 4,200,000 | 2,220.000 | |
실제 대출이자(1.5%)900,000원 | 실제 대출이자(7%)4,200,000원 | |||||||
3,300,000원 이득!! | ||||||||
(1) 청약통장 예금담보대출 받고 "마이너스 통장 대출 이자 아끼기!!" | ||||||||
(2) ISA 정기예금 가입하고 "고금리 이자 챙기기!! |
청약통장 해약하면 되돌릴 수 없으니 현명하게 해약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케이스로 활용하는 방법 활용하기 바랍니다.